Should Dialogues Be Stored?

Have you ever used mobile messenger applications? Today most people use them. They not only make us freely dialogize with others but are also formed online communities. However, these applications store all dialogues in their server without any assent. Actually, three thousands of people’s personal information and conversations were disclosed by hackers. It leads to cyber crime and invasion of privacy. If the data hadn’t been saved, this matter wouldn’t have been disclosed. Considering this point in view, should dialogues be stored? Some oppose this system opining it would make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others agree with this system arguing if it is deleted, many problems for using will arise. But I think two opinions should be in harmony.


To begin with, there are many people who oppose this system storing all dialogues. They claim that if storing server is hacked, important information such as IDs and Passwords, card numbers and phone numbers can be exposed. Also, they could feel shameful no matter how someone is observing their talks simultaneously because their talking is stored. So they are opposing this syst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argely two reasons for some wanting to maintain this. First reason is that dialogues are used for lawful evidence for the possibility of verbal abuse online. Its data could unburden victims with false accusation. And if dialogues are deleted, people overseas who cannot receive messages for a few days can never be able to receive message. In these reasons, they are agreeing this system.


In my opinion, this process dealing with personal data should be held under the condition that security system is strengthened. If dialogues are not saved, clear conversations cannot be conducted. Although dialogues are not saved in short period, if proper security team cannot respond to hackers quickly, important data will be exposed. So just increasing security technology will resolve weak points and maintain strong points. Thus, I suggest security should be tighten up.


Do you have any other ideas to settle this issue? Two groups have argued with it between maintain and withdrawal, and my opinion was that security should strengthen. In reality, DaumKakao that created KakaoTalk changed storing period from 7 days to 2~3 days after KakaoTalk Exposure Accident. But it just seems like a last mean to evade public’s blame. So I think that increasing security technology is the best answer to resolve ultimate problem.

설정

트랙백

댓글

<초임계유체>

I. Intro

초임계유체(supercritical fluid)는 임계점 이상의 온도와 압력에 놓인 물질 상태를 일컫는다. 기체의 확산성과 액체의 용해성이 있다.


II. Principle

물질에는 고유한 비등점(끓는점)과 동점이 있다. 초임계유체는 온도를 비등점 이상으로 하면서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도록 고압을 가해줌으로써 만들어내는 기체도 액체도 아닌 상태이다. 따라서 기체의 특징과 액체의 특징을 동시에 갖는데, 이것이 기체의 확산성과 액체의 용해성이다.

  기체의 확산성이란 기체가 공중에서 떠다니는 성질을 말한다. 초임계유체에서 볼 수 있는 형태는 공중에서 떠다니는 종류의 그것은 아니고, 벽을 타고 상승하거나 중력에 반하여 움직이는 따위의 형태이다. 액체의 용해성은 말 그대로 액체가 용질을 녹이는 성질을 말한다. 초임계유체

에서 액체의 용해성은 액체 상태에서보다 한층 강해지는데, 고체상태의 금속이나,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키기도 한다.

III. Example

초임계유체로 자주 사용하는 물질은 물과 이산화탄소다초임계 상태에 있는 물은 금조차 녹인다. 심지어는 셀룰로스나 다이옥신까지 분해할 수 있또한, 초임계상태의 이산화탄소는 여러가지 물질을 잘 용해한다. 목표물을 용해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임계점 이하로 하면, 이산화탄소는 기화하여 대기로 날아가고 용질만이 남는다. 날아간 이산화탄소는 회수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다. 이 공정은 실제로 커피에서 카페인을 제거할 때 쓰인다초임계 유체를 사용한 공정은 원래 들어있는 중금속이나 강산 등의 촉매를 사용한다. 용매를 공정에 옮겨놓는 것으로, 환경에 대한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다. 잔존 용매가 없고, 깔끔하게 원료 추출이 가능하다. 다만, 용매를 고온 고압 상태로 유지해야 하므로 초기 투자 비용이 많이 들어간다는 단점이 있다

설정

트랙백

댓글

<음펨바 효과>

Intro

특정한 상황에서 고온의 물이 저온의 물보다 더 빨리 어는 현상 또는 그 효과


Theories

1st : 뜨거운 물은, 물분자의 활발한 활동으로 증발이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뜨거운 물의 질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워서 더 빨리 언다는 가설. 그러나 용기를 밀폐해서 증발을 막아도 음펨바 효과는 나타나 입증하지 못함.


2nd : 대류현상을 원인으로 생각한 가설. 뜨거운 물은 차가운 물보다 초기에 외부로 잃는 열의 양이 많아서 대류현상이 더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것. 하지만 대류현상은 물의 온도보다 용기의 모양에 영향이 더 많이 받기 때문에 보편화되지 못함.


3rd : 과냉각 이론. 물은 어는점 아래에서도 액체 상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다. 얼음이 되기 위해서는 응결핵이 필요한데,응결핵이 없으면 물은 0도라도 얼지 않는데, 이러한 현상을 과냉각이라 부른다. 뜨거운 물은 영하 2도에서 응결핵이 관찰되고 차가운 물은 영하 8도에서 응결핵이 관찰되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면서 한때 주목을 받았다.


Principle

2013년 싱가포르 난양기술대학에에서 내놓은 해답.

물 분자들에는 각각에 들어있는 산소원자와 수소원자 사이에서 수소결합이 발생한다.

이 수소결합이 물분자의 에너지 축적과 방출에도 관여하는데, 물을 끓이면 물분자 사이 간격이 더 벌어지고 수소결합도 더 길어진다. 끓인 물을 냉각하면 공유결합 길이가 다시 줄어들며 축적했던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뜨거운 물은 축적된 에너지 양이 많아 냉각시키면 더 빠른 속도로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물이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과 그 에너지 방출의 비율은 본질적으로 각각의 물이 지닌 초기 온도에 따른 분자 간격(에너지 상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얼게 된다고 설명했다. 사실 이 설명만으로는, 음펨바 효과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기 힘들다. 그래서 필자도 다른 자료들을 찾아 보았으나 납득이 가는 설명은 없었다. 다만 가장 그럴 듯한 설명을 해외 사이트에서 발견했는데, 그 내용은 대음과 같다. 

설정

트랙백

댓글